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육친론6

부자(富者)사주와 빈곤(貧困)사주 사주풀이 사례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재물운과 금전운에 대한 포스팅에 이어 육친론으로 보는 돈 버는 부자사주와 돈과 거리가 먼 빈곤사주 사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사주풀이 순서 인간의 사주팔자를 풀이하는 데에는 많은 이론적 배경 지식이 필요합니다. 가장 먼저 만세력을 통해 본인의 사주팔자를 확인한 후 육친이론, 천간 지지의 형, 충, 파, 해, 극, 합 관계와 12 운성의 기운과 지지의 장간을 확인한 후 일간의 왕도를 따져본 후 용신을 찾습니다. 추가로 십 년 주기운 대운과 세운을 확인한 이후 재물운, 인연운 등 각각의 운의 이치에 맞도록 팔자가 조화를 이루는지 확인합니다. ※사주풀이 순서 ①태어난 연월일시를 기준으로 만세력을 활용하여 사주팔자를 알아봅니다. ②일간을 중심으로 나머지 일곱 자의 육친 관계를.. 2023. 6. 14.
정인(正印) 사주의 특성과 의미 안녕하세요. 오늘은 십성(十星) 중 정인(正印)의 사주가 내포하고 있는 특성과 함의를 알아보겠습니다. ◈정인(正印) 이란? 육친(肉親) 중 정인(印)은 편인(正印)과 동일하게 일간(日干)을 생(生)하는 오행이며 음양(陰陽)이 서로 달라 흡인(吸引)하는 관계입니다. 정인은 심리적으로 인내심이 매우 강하고 모성애 성향이 대표적인 특징으로 어머니를 의미합니다. 궁성이론에 따르면 정인(正印, 印綬)의 주체 천간은 기토(己土)입니다. 인성은 곧 성실과 인내를 뜻합니다. 겸손과 교양을 갖춘 말투와 행동으로 언제나 자애로운 마음과 성실함 또한 겸비하고 있으니 사주에 꼭 필요한 십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종교적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정인은 어머니(母親)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는 모태 신앙의 의미도 가지기에 성.. 2023. 5. 11.
궁성(宮星)이론 원리와 사주팔자 해석 안녕하세요. 오늘은 십성 육친론에 따라 서주팔자 해석에 근간이 되는 궁성이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궁성(宮星)이론이란? 궁성이론은 일간을 기준으로 각 사주에 십성이 본성을 가지고 본래의 자리가 있다고 보는 이론입니다. 전통적인 육친론은 사주팔자 연월일시를 조상, 부모, 배우자, 자녀로 나누어 해석했으나 새로운 궁성이론은 아래와 같이 변형된 형태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먼저 궁성이론의 세부속성과 천간표, 십성표를 살펴보고 각각의 의미에 대해 해석해 보겠습니다. ※궁성이론 세부속성 시 일 월 년 종교 자신 표현 父 자식 배우자(妻), 욕구 배우자(夫), 직업 母 ※궁성이론 천간표 시 일 월 년 戊 庚(辛) 壬 甲 癸 乙 丁(丙) 己 ※궁성이론 십성표 시 일 월 년 편인 庚(辛) 식신 편재 상관 정재 정관 .. 2023. 4. 18.
정재(正財) 돈이 들어오는 사주 십성 안녕하세요. 오늘은 인생을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십성으로 정재(正財) 사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재(正財) 사주의 의미 정재는 한자의 뜻 그대로 바른 재물이라는 의미입니다. 일간(日干)이 다른 사주를 극(剋)하는 오행이며 음양(陰陽)이 다른 경우를 정재라고 합니다. 육친론에 따라 일간이 양의 기운을 가지는 경금(庚金)이라고 하면, 사주 천간에 음의 기운을 가지는 목(木)의 기운이 오게 되면 금극목(金剋木)하게 되며 목의 기운을 가지는 천간 갑목(甲), 을목(乙) 중 음의 기운을 가지는 을목(乙木)이 위치하게 되면 정재입니다. 양의 기운을 가지는 갑목이 위치할 경우는 지난 시간에 알아본 편재가 되는 경우입니다. 편재 사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전 포스팅을 참조하실 수 있도록 아래 링크를 공유드립니다.. 2023. 3.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