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민연금3

국민연금 부부 모두 가입해야하는 이유(임의가입제도) 안녕하세요. 오늘은 노후의 안정적인 생활을 위한 삼층연금 중 가장 기본적인 국민연금에 대해 소개해드립니다. ◈국민연금제도 국민연금이란 정부가 1988년부터 도입한 공적연금제도 중 한 가지입니다. 현재는 65세 이후 수령하여 종신까지 생계를 위해 지급되고 있는 연금입니다. 국민연금의 사각지대에 위치한 저소득 노령인구들을 위해서는 기초노령연금이 따로 준비되어 있습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https://www.nps.or.kr/jsppage/main.jsp) 국민연금공단 자주 찾는 서비스 팝업존 www.nps.or.kr 국민연금기금은 900조가 넘는 적립금을 보유하고 전문 투자기관에 위탁하여 채권, 국내 주식, 해위 주식 등으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증시의 주요 3대 투자자 역할을 수행 중이기도 합.. 2023. 2. 9.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과 국민연금 수령과의 관계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과 기준연금액, 재산환산공제, 자연적 소비금액, 그리고 국민연금 수령할 경우 수령가능한 연금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초노령연금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기초연금은 어려운 노후를 보내시는 어르신들의 편안한 노후생활을 도와드리기 위한 제도입니다. 1988년도 국민연금 제도 시행되었지만 국민연금을 가입하지 못했거나 그 가입기간이 짧은 어르신들을 위해 기초연금제도가 도입되었으며 연금을 준비하지 못한 어르신들의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기초연금 홈페이지 https://basicpension.mohw.go.kr/basicpension/ 기초연금 기초연금제도 소개, 대상, 혜택, 보도자료, 홍보영상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basicpension.mohw.go.. 2022. 12. 23.
연금소득의 원천징수와 연말정산시 연금소득공제 분리과세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종합소득세 포스팅에 이어 노후의 희망 3층 연금소득에 대한 원천징수 방법과 연금소득공제, 분리과세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립니다. ◈연금소득의 범위와 원천징수 세금 연금은 영어로 annuity, 한자로는 年金이라고 표현하는 미래를 대비하여 현재의 재화를 축적하여 노후, 사망 등 근로소득이 없거나 소득 자체가 불안정한 시기에 사용하는 자산입니다. 국세청 홈페이지에 게시된 내용을 기준으로 보면 연금소득은 크게 공적연금과 사적연금 두 가지로 나누어지고 납입한 연금에 대해 세액공제를 받은 경우 1,200만원 초과시 종합과세 대상이 됩니다. ※연금세액공제한도 연말정산 연금저축 퇴직연금 세액공제 한도변경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2년 세법 개정으로 2023년부터 달라지는 연금저축, 퇴직연금 세.. 2022. 11.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