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십성7

육친운(六親運)에 따른 가족 인연 판단법(判斷法) 이론편 안녕하세요. 오늘은 육친을 통해 인연을 보는 방법과 십성(十星)의 변화에 따른 육친운 판단법에 대해 소개해 드립니다. ◈육친(六親) 인연 보는 방법 육친 이론은 여섯 종류의 가족 관계를 통해 사람의 인생과 팔자를 판단하는 방법입니다. 육친은 부모, 형제, 자매, 처, 남편, 자식을 말하며 십성(十星) 각각의 궁성이론과 대운, 세운의 흐름을 함께 살펴야 합니다. 육친의 인연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십성과 육친의 관계를 기본으로 각 십성의 궁위와 일간과의 친밀도를 종합적으로 판단합니다. ◈십성과 육친의 관계 가장 먼저 십성과 부모, 형제, 자매, 처, 남편, 자식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①부모(父母)와 유관한 십성 : 정인(正印) / 편재(偏財) 십성 중 정인은 일간인 나(我)를 생하면서 흡인하는 관계.. 2023. 6. 19.
정인(正印) 사주의 특성과 의미 안녕하세요. 오늘은 십성(十星) 중 정인(正印)의 사주가 내포하고 있는 특성과 함의를 알아보겠습니다. ◈정인(正印) 이란? 육친(肉親) 중 정인(印)은 편인(正印)과 동일하게 일간(日干)을 생(生)하는 오행이며 음양(陰陽)이 서로 달라 흡인(吸引)하는 관계입니다. 정인은 심리적으로 인내심이 매우 강하고 모성애 성향이 대표적인 특징으로 어머니를 의미합니다. 궁성이론에 따르면 정인(正印, 印綬)의 주체 천간은 기토(己土)입니다. 인성은 곧 성실과 인내를 뜻합니다. 겸손과 교양을 갖춘 말투와 행동으로 언제나 자애로운 마음과 성실함 또한 겸비하고 있으니 사주에 꼭 필요한 십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종교적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정인은 어머니(母親)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는 모태 신앙의 의미도 가지기에 성.. 2023. 5. 11.
육친(肉親)의 심리적 특성과 직업 성별 특징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주팔자 십성(十星) 육친(肉親)의 심리적 특성과 직업, 성별 특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육친의 심리적 특징 사주팔자의 나를 의미하는 일간을 기준으로 각 일곱 자의 오행과 음양에 따라 십성을 나누고 육친으로 분류하여 본인이 가지고 있는 기질과 팔자를 논하는 것을 육친론이라고 합니다. 아래 갑을 기준으로 정리한 육친표를 보면서 다시 한번 십성의 관계를 생각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육친표 십성(十星)의 명칭 관계 십성의 함의 비견(比肩) 甲 대 甲 나를 도우나 나는 배척 겁재(劫財) 甲 대 乙 나를 도우며 나와 흡인 식신(食神) 甲 대 丙 내가 생하며 배척 상관(傷官) 甲 대 丁 내가 생하며 흡인 편재(偏財) 甲 대 戊 내가 극하며 배척 정재(正財) 甲 대 己 내가 극하며 흡.. 2023. 5. 1.
상관(傷官) 사주 특성과 함의 안녕하세요. 오늘은 십성 중 상관(傷官)의 사주 특성과 내포하고 있는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상관(傷官) 육친 중 상관(傷官)은 식신(食神)과 동일하게 일간(日干)이 다른 사주를 생(生)하는 오행이지만 음양(陰陽)이 서로 달라 흡인하는 관계입니다. 상관은 파관성(破官星)이라고도 하는데 말 그대로 관(官)을 파괴한다는 의미입니다. 관성은 정신적으로 매우 중요한 것인데 상(傷, 상처)하게 한다면 매우 여러 가지 분야에서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관 사주의 기본 특성은 학술과 다재다능함입니다. 학자나 문인의 사주에는 반드시 상관이 위치하고 있으며 무엇이든 만들어내는 재주는 창작과 발명에 뛰어납니다. 상관의 사주는 궁성이론에 따라 일간 경금(庚金)의 양의 오행을 기준으로 사주천간에 음양이.. 2023. 3.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