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궁성이론7

육친운(六親運)에 따른 가족 인연 판단법(判斷法) 이론편 안녕하세요. 오늘은 육친을 통해 인연을 보는 방법과 십성(十星)의 변화에 따른 육친운 판단법에 대해 소개해 드립니다. ◈육친(六親) 인연 보는 방법 육친 이론은 여섯 종류의 가족 관계를 통해 사람의 인생과 팔자를 판단하는 방법입니다. 육친은 부모, 형제, 자매, 처, 남편, 자식을 말하며 십성(十星) 각각의 궁성이론과 대운, 세운의 흐름을 함께 살펴야 합니다. 육친의 인연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십성과 육친의 관계를 기본으로 각 십성의 궁위와 일간과의 친밀도를 종합적으로 판단합니다. ◈십성과 육친의 관계 가장 먼저 십성과 부모, 형제, 자매, 처, 남편, 자식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①부모(父母)와 유관한 십성 : 정인(正印) / 편재(偏財) 십성 중 정인은 일간인 나(我)를 생하면서 흡인하는 관계.. 2023. 6. 19.
부자(富者)사주와 빈곤(貧困)사주 사주풀이 사례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재물운과 금전운에 대한 포스팅에 이어 육친론으로 보는 돈 버는 부자사주와 돈과 거리가 먼 빈곤사주 사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사주풀이 순서 인간의 사주팔자를 풀이하는 데에는 많은 이론적 배경 지식이 필요합니다. 가장 먼저 만세력을 통해 본인의 사주팔자를 확인한 후 육친이론, 천간 지지의 형, 충, 파, 해, 극, 합 관계와 12 운성의 기운과 지지의 장간을 확인한 후 일간의 왕도를 따져본 후 용신을 찾습니다. 추가로 십 년 주기운 대운과 세운을 확인한 이후 재물운, 인연운 등 각각의 운의 이치에 맞도록 팔자가 조화를 이루는지 확인합니다. ※사주풀이 순서 ①태어난 연월일시를 기준으로 만세력을 활용하여 사주팔자를 알아봅니다. ②일간을 중심으로 나머지 일곱 자의 육친 관계를.. 2023. 6. 14.
정인(正印) 사주의 특성과 의미 안녕하세요. 오늘은 십성(十星) 중 정인(正印)의 사주가 내포하고 있는 특성과 함의를 알아보겠습니다. ◈정인(正印) 이란? 육친(肉親) 중 정인(印)은 편인(正印)과 동일하게 일간(日干)을 생(生)하는 오행이며 음양(陰陽)이 서로 달라 흡인(吸引)하는 관계입니다. 정인은 심리적으로 인내심이 매우 강하고 모성애 성향이 대표적인 특징으로 어머니를 의미합니다. 궁성이론에 따르면 정인(正印, 印綬)의 주체 천간은 기토(己土)입니다. 인성은 곧 성실과 인내를 뜻합니다. 겸손과 교양을 갖춘 말투와 행동으로 언제나 자애로운 마음과 성실함 또한 겸비하고 있으니 사주에 꼭 필요한 십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종교적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정인은 어머니(母親)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는 모태 신앙의 의미도 가지기에 성.. 2023. 5. 11.
십성(十星)의 주체와 사주 천간(天干)의 특징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서 궁성이론에 대해 알아보며 각 사주의 주체 특성을 알아보았는데 이번 시간에는 십성의 주체와 사주 천간의 특징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십성의 주체(主體) 지난 궁성이론 포스팅을 통해 각각의 십성은 본연의 궁과 성이 있다고 했습니다. 이는 천간을 기준으로 각 십성의 주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아래 십성의 주체와 천간 표를 보고 궁성이론의 원리 포스팅을 보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십성의 주체 천간 표 천간(天干) 십성(十星), 육친(肉親) 甲 편재(偏財) 乙 정재(正財) 丙 편관(偏官) 丁 정관(正官) 戊 편인(偏印) 己 정인(正印) 庚 비견(比肩) 辛 겁재(劫財) 壬 식신(食神) 癸 상관(傷官) ※천간의 궁성 정위표 시 일 월 년 戊 庚(辛) 壬.. 2023. 5. 3.
반응형